항공 교통 관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공 교통 관제는 항공기의 안전하고 질서 있는 운항을 위해 항공기와 항공기, 또는 항공기와 장애물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항공 교통 흐름을 유지·촉진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1920년 런던 크로이던 공항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공항 관제, 접근 및 단말 관리, 항공로 관제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관제 업무는 호출 부호 할당 및 사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레이더, 컴퓨터 시스템,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 등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항공 교통 관제는 항공 교통 수요 증가와 기상 조건에 따라 지연 및 혼잡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항공교통시스템(Next Generation Air Transportation System) 및 단일 유럽 항공교통관리 연구(SESAR)와 같은 미래 지향적인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사 - 항공사 코드
항공사 코드는 IATA와 ICAO에서 지정하는 두 글자 또는 세 글자 코드로, 각각 상업적 목적과 항공 교통 관제에 사용되며, 각 항공사는 고유한 호출 부호와 회계 코드를 가진다. - 항공사 - Moldaeroservice
Moldaeroservice는 몰도바 정부가 설립한 국영 항공 서비스 제공업체로, 벨치 지역의 두 공항 운영, 항공기 정비, 지상 조업, 항공 화물 운송, 항공 교통 서비스 및 다양한 항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며, 키시너우 국제공항을 주요 기지로 사용한다. - 항공 교통 관제 - 영공
영공은 국가 영토와 영해 상공에 주권이 미치는 공역으로, 국제 조약에서 주권이 명시되었으며, 수평적 경계는 영토 및 영해 경계와 일치하나 수직적 경계는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고, 항공 교통 관리를 위해 관제구역과 비관제 공역으로 구분되며, 드론 기술 발전과 미사일 위협 등으로 새로운 관리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 항공 교통 관제 - 노탐
노탐은 항공 운항 관련 시설, 절차, 위험 요소 정보를 담은 공지로, 조종사에게 잠재적 위험 요소를 알리고 안전한 비행을 지원하며, 미국에서는 시스템 장애로 항공편 운행이 중단된 사례가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그래픽 노탐을 도입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항공 교통 관제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설명 | 항공 교통 관제는 항공기의 안전하고 질서 있는 흐름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
목적 | 항공기의 안전, 효율성, 질서 있는 흐름 보장 |
주요 기능 | 항공기 간 간격 유지 항공기 이착륙 관리 비행 계획 조정 비행 중 안전 관리 |
관제 유형 | 비행장 관제 접근 관제 지역 관제 |
주요 구성 요소 | |
관제사 | 항공 교통 관제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 |
레이더 |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를 감지하는 장비 |
통신 시스템 | 관제사와 조종사 간 통신을 위한 장비 |
데이터 처리 시스템 | 비행 계획 및 항공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
관제 절차 | |
비행 계획 제출 | 조종사는 비행 전에 비행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
관제 허가 | 관제사는 비행 계획을 검토하고 비행 허가를 발급한다. |
이륙 및 상승 |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이륙하고 상승한다. |
순항 |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항로를 유지한다. |
하강 및 착륙 |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하강하고 착륙한다. |
관제 구역 | |
비행장 관제 구역 | 비행장 주변의 항공 교통을 관리한다. |
접근 관제 구역 | 비행장 주변의 접근 및 이륙 항공 교통을 관리한다. |
지역 관제 구역 | 항로상의 항공 교통을 관리한다. |
장비 및 기술 | |
레이더 시스템 | 1차 레이더, 2차 레이더 |
통신 시스템 | VHF, HF 무선 통신 |
데이터 링크 시스템 | 항공기-관제소 간 데이터 통신 |
자동화 시스템 | 자동화된 비행 정보 처리 시스템 |
국제 표준 및 규정 | |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 국제 항공 표준 및 권고 절차를 제공한다. |
국가 항공 당국 | 각 국가별 항공 관제 규정을 담당한다. |
기타 정보 | |
언어 | 표준 언어: 영어 지역 언어: 각 국가의 언어 사용 가능 |
레이더 종류 | 1차 레이더 (Primary Surveillance Radar, PSR) 2차 레이더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SSR) |
관제 방법 | 절차 관제 (Procedural Control) 레이더 관제 (Radar Control) |
항공로 | 고고도 항공로 (High Altitude Airways) 저고도 항공로 (Low Altitude Airways) |
2. 역사
1920년 2월 25일, 런던 크로이던 공항은 세계 최초로 항공 교통 관제를 선보인 공항이다.[5] 최초의 비행장 관제탑은 4.6m 높이의 목조 오두막이었으며, 조종사에게 기본적인 교통, 날씨, 위치 정보를 제공했다.[6][7]
관제 업무는 항공 교통 업무(Air Traffic Service)의 하나로, 항공기와 항공기, 또는 항공기와 장애물의 충돌 방지 및 항공 교통의 질서 있는 흐름 유지·촉진을 위한 업무를 의미한다. 항공 교통 업무는 다음 세 가지 업무의 총칭이다.
1922년, 미국 우체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 육군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여 항공 우편 무선국(AMRS)을 설립하고 정찰기의 움직임을 감시 및 추적하기 시작했다. AMRS는 이후 항공 정보국으로 발전하여 조종사에게 다양한 비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ATC의 관제 지시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30년, 클리블랜드에 최초의 공항 교통 관제탑이 개설되어 특정 공항의 이착륙과 지상 이동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1935년, 뉴저지 주 뉴어크에 최초의 항공로 교통 관제 센터가 설립되었고, 1936년 시카고와 클리블랜드에도 설립되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항공기 이동을 관리하기 시작했다.[8]
1950년대, 대규모 공항 주변의 혼잡한 공역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해 레이더를 도입한 진입 및 출발 제어 시설이 생겼다.
1956년 그랜드캐니언 중간 충돌 사고(탑승자 128명 전원 사망) 이후, 1958년 미 연방항공청(FAA)이 미국의 항공 교통 책임을 부여받았고, 이후 다른 국가들도 뒤따랐다.
1960년, 영국, 프랑스, 독일과 베네룩스 국가들은 영공 통합을 목표로 유로컨트롤을 설립했다. 1972년, 유로컨트롤에 의해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북서독을 아우르는 마스트리흐트 상층 관제 센터(MUAC)가 설립되어 국가 간 관제관들의 공동 관리를 시도했다.
2001년, 유럽 연합은 효율성 향상과 규모의 경제를 위해 "Single European Sky"를 지향하기 시작했다.[9]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미군이 항공 교통 관제 업무를 담당하다가, 195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정부로 관제권이 이양되기 시작했다. 이후 지속적인 투자와 발전을 통해 현대적인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3. 관제 업무의 종류
3. 1. 관제 기관 및 호출 부호
안전한 항공 교통 분리를 위한 전제 조건은 구별되는 호출 부호의 할당 및 사용이다. 이러한 호출 부호는 정기 항공편과 일부 공군 및 기타 군사 부대의 군용 항공편에 대해 요청 시 ICAO에 의해 영구적으로 할당된다.[21] AAL872 또는 VLG1011과 같이 두 글자 또는 세 글자 조합에 항공편 번호가 뒤따르는 호출 부호가 있으며, 비행 계획 및 ATC 레이더 표시에 나타난다. 조종사와 항공 교통 관제 간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음성'' 또는 ''무선 전화'' 호출 부호도 있는데, 항상 서면 호출 부호와 동일하지는 않다. 음성 호출 부호의 예로는 서면 호출 부호 'BAW832' 대신 'Speedbird 832'가 있다.[21]
기본적으로 다른 항공편의 호출 부호는 항공기의 등록 번호(미국에서는 테일 넘버라고 함)이며, 예를 들어 'N12345', 'C-GABC' 또는 'EC-IZD'와 같다. 이러한 테일 넘버에 대한 짧은 ''무선 전화'' 호출 부호는 NATO 표기법을 사용하는 마지막 세 글자(예: C-GABC의 경우 ABC, '알파-브라보-찰리'로 발음) 또는 마지막 세 숫자(예: N12345의 경우 '쓰리-포-파이브')이다. 미국에서는 접두사가 첫 번째 등록 문자 대신 항공기 유형, 모델 또는 제조업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11842'는 'Cessna 842'가 될 수 있다.[21]
1980년경 이전에는 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와 ICAO가 동일한 두 글자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규제 완화 이후 새로운 항공사 수가 증가함에 따라 ICAO는 세 글자 호출 부호를 설정했다. IATA 호출 부호는 현재 비행장의 안내판에 사용되지만 항공 교통 관제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A는 아메리칸 항공의 IATA 호출 부호이고, ATC에 해당하는 호출 부호는 AAL이다.
일반적인 상업 항공편의 항공편 번호는 항공기 운영자가 지정하며, 출발 시간이 주중의 다른 날에 약간씩 달라도 동일한 정기 항공편에 대해 매일 동일한 호출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왕복 항공편의 호출 부호는 종종 출발 항공편과 마지막 자릿수만 다르다. 동일한 주파수에서 두 호출 부호가 너무 유사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유럽의 많은 항공사들이 항공편 번호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영숫자 호출 부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1] 또한 항공 교통 관제사는 혼동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항공편이 자신의 구역에 있는 동안 '음성' 호출 부호를 변경할 권리가 있다.
3. 2. 관제 업무의 예시 (김포-김해 IFR 비행)
김포국제공항에서 김해국제공항까지 계기비행방식(IFR)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출발 전 비행 계획을 제출하고, 관제 기관의 승인과 지시에 따라 이동한다.
출발 전, 항공기는 김포공항 관제소의 관제 승인 전달석(TOKYO DELIVERY)에 관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을 받으면 지상 관제석(TOKYO GROUND)의 지시에 따라 활주로까지 이동한다. 이후 공항 관제석(TOKYO TOWER)의 이륙 허가를 받아 이륙한다.
이륙 후에는 김포터미널 관제소 출역 관제석(TOKYO DEPARTURE)의 레이더 관제를 받으며, 이후 서울지역 관제소(TOKYO CONTROL)로 관제 업무가 이관된다. 서울지역 관제소는 항공로 관제를 수행하며, 필요시 레이더 유도, 고도 변경, 하강 지시 등을 내린다.
이후 부산터미널 관제소 입역 관제석(KANSAI APPROACH)으로 관제가 이관되며, 도착 순위 결정, 레이더 유도, 하강 지시, 속도 조정 등을 거쳐 김해국제공항 진입 허가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김해공항 관제소(OSAKA TOWER)의 착륙 허가를 받고 착륙한 후, 지상 관제석(OSAKA GROUND)의 지시에 따라 주기장으로 이동한다.
4. 공항 관제
공항 관제는 공항 관제탑(Control Tower, TWR)에서 시각적 감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항공 교통 관제탑은 공항 부지에 위치한 건물이다. 관제탑 관제사는 공항 주변(항공교통관제구역)을 운항하는 항공기, 공항 내 유도로와 활주로에서 이동하는 항공기 및 작업 차량 등의 교통 정리를 담당한다.
관제탑은 일반적으로 공항 부지 내에 위치한 높고 창문이 많은 구조물이다. 관제사(Air traffic controller)는 활주로와 유도로에서 운영되는 항공기 및 차량의 분리 및 효율적인 이동, 그리고 공항 근처 상공의 항공기의 통제를 담당한다. 관제사는 규칙과 절차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하지만, 시간 압박 하에서 종종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해야 한다.[10]
대형 공항의 관제사에게는 항공 교통 통제를 지원하기 위해 감시 디스플레이도 제공된다. 관제사는 접근 및 이륙하는 항공 교통에 대해 이차 감시 레이더(secondary surveillance radar)라는 레이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악천후 조건에서는 관제탑 관제사가 지상 이동 레이더(surface movement radar, SMR) 등을 사용하여 유도로의 교통을 통제할 수 있다.
관제탑 관제사의 책임 영역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로 나뉜다.
- 국지 관제 (Local Control)
- 지상 관제 (Ground Control)
- 비행 데이터 / 통관 및 전달
4. 1. 지상 관제 (Ground Control)
지상 관제는 공항의 '이동' 구역과 항공사나 다른 사용자에게 개방되지 않은 구역을 담당한다.[15] 여기에는 모든 유도로, 비활성 활주로, 대기 구역, 그리고 항공기가 활주로나 출발 게이트를 벗어나 도착하는 일부 전이 에이프런이나 교차로를 포함한다.[15] 이러한 구역에서 활동하는 모든 항공기, 차량, 보행자는 지상 관제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VHF/UHF 무선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다른 절차가 사용되는 특수한 경우도 있다.[15] 무선이 없는 항공기 또는 차량은 항공등화 신호를 통해 관제 지시에 응답하거나, 무선을 장착한 공식 공항 차량의 안내를 받아야 한다.
공항 지표면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은 휴대용 무선 또는 휴대전화를 통해 지상 관제와 통신할 수 있다. 지상 관제는 출발 항공기의 순서에 영향을 미치고 공항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일부 혼잡한 공항에는 지상 이동 레이더(SMR)가 설치되어 지상의 항공기와 차량을 표시한다.[15] 이러한 시스템은 야간이나 시정이 불량한 경우 지상 교통을 통제하기 위한 추가 도구로 사용된다. 새로운 시스템은 고품질 매핑, 레이더 표적, 데이터 블록 및 안전 경고를 표시하고 디지털 항공 스트립과 같은 다른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일본에서는 항공교통관제사가 관제하는 거의 모든 공항에 지상 관제가 설치되어 있다. 지상 관제는 활주로와 에프런 내를 제외한 공항 내에서의 항공기 및 업무용 차량(견인차, 제설차, 노면 점검 차량 등)의 이동을 관제한다. 출발 및 도착 항공기는 물론, 야간의 스폿 변경 등 견인차가 항공기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허가나 지시를 내린다. 이동 경로나 유도로 교차로에서 "정지", "이동 장애 없음"을 지시하는 등 도로 교통의 신호등과 같은 역할을 한다.
교신 예시 (일본)
- Japan Air 501, Push back approved. Except Runway 34R. (일본항공 501편, 푸시백 허가합니다. 사용 활주로는 34R입니다.)
- Japan Air 501,Push back approved. Heading south. ((approved까지 위와 같음) 기수는 남쪽으로 향하십시오.)
- Japan Air 501, Runway 34R. Taxi to holding point via W-4, A, H. (일본항공 501편, 사용 활주로는 34R입니다. 활주로 정지 위치까지 유도로 W-4, A, H를 통해 지상 이동하십시오.)
4. 2. 국지 관제 (Local Control, Tower Control)
국지 관제는 조종사들에게 "타워" 또는 "타워 컨트롤"로 알려져 있으며, 활주로 사용에 대한 책임을 총괄한다.[15] 항공기의 이착륙 및 활주로 횡단, 역주행(Back Track) 등 활주로 사용에 대한 모든 부분을 관할하며, 활주로 상에 위해 요인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거나 그러한 경우, 착륙을 위해 접근 중인 항공기에게 "Go-Around (복행하라)" 지시를 할 수 있다.[15]복행한 항공기는 접근 관제소(Approach Control)로 관제 이양되어 레이더 유도(Radar Vector)를 받거나 실패접근절차(Missed Approach Procedure)나 교통장주(Traffic Circuit)를 이용하여 재 접근하도록 유도된다.
관제탑 내에서 국지 관제사와 지상 관제사 간에는 긴밀한 협조와 소통이 필요하다.[15] 지상 관제사들은 항공기 또는 차량이 활주로를 횡단하도록 하기 위해 국지 관제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크루 리소스 매니지먼트(CRM) 절차는 이러한 통신 과정이 효율적이고 명확하도록 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항공교통관제(ATC)에서는 일반적으로 '팀 리소스 매니지먼트'(TRM)로 알려져 있다.
기본적으로 관제권 내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관제와 활주로에 대한 이착륙 허가를 발행한다. 일반적인 호출 부호는 "타워(Tower)"이며, 규모가 작고 지상 관제(Ground)나 이륙 허가 관제(Clearance Delivery)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항에서는 이러한 역할도 담당한다.
출발의 경우, 지상 관제(Ground)로부터 관제를 인계받아 이륙 허가를 내리고, 출발 관제(Departure)로 관제 업무를 이관한다. 도착의 경우, 접근 관제(Approach)로부터 관제를 인계받아 착륙 허가를 내리고, 지상 관제로 관제 업무를 이관한다.
;통신 예시
:Japan Air 501, hold short of runway 34R. Number 3.
:: 일본항공 501편, 활주로 34R 앞에서 대기하십시오. 순서는 3번째입니다.
:Japan Air 501, runway 34R. Line up and wait[51].
:: 일본항공 501편, 활주로 34R에 진입하여 대기하십시오.
:Japan Air 501, wind 010 at 5. Runway 34R. Cleared for take off. Arrival traffic 4-mile on final.
:: 일본항공 501편. 풍향 010도, 풍속 5노트. 활주로 34R 이륙 허가합니다. 후속 도착 항공기가 최종 접근 코스 상 4마일 지점에 있습니다.
4. 3. 비행 데이터 / 통관 및 전달
비행 데이터/통관 및 전달은 항공기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텍싱 전에 출발 후 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의 세부 사항을 전달한다.[59] 바쁜 공항에서는 교통 관리 코디네이터가 항공기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해 경로 센터와 국가 명령 센터 또는 흐름 제어 센터와 협력하기도 한다.항공기의 비행 방식은 크게 계기비행방식(IFR)과 시계비행방식(VFR)의 두 종류가 있다.[52] IFR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관제공역을 비행하는 경우에는 비행계획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클리어런스·딜리버리(또는 단순히 딜리버리, CLR)는 이러한 관제 승인을 항공기에 전달하는 기관이다. 일반 항공사의 대형 여객기는 거의 모두 IFR로 비행하므로, 먼저 클리어런스·딜리버리와 교신하여 목적 공항과 순항 예정 고도를 통보하고 비행 계획 승인을 요청한다.
비행 경로는 미리 제출된 비행 계획(플라이트 플랜)에 따라 관제관에 의해 확인된다. 관제 승인으로 목적 공항·출발 경로(표준계기출발방식(SID)이나, 이를 보충하는 경로인 트랜지션)를 포함한 비행 경로·이륙 후 유지할 고도·순항 고도·트랜스폰더 식별 코드가 전달되고, 조종사는 복창한다. 복창이 확인되면 지상(지상 관제석)과 교신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클리어런스·딜리버리는 일본에서는 구 제1종 공항을 비롯한 교통량이 많은 공항에 설치되어 있다. 지방 공항 등에서는 지상이나 타워가 역할을 대신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자동 음성화된 공항도 존재한다.
4. 4. 접근 및 단말 관리
대부분의 공항에는 특정 공항과 연관된 레이더 관제 시설이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를 "터미널 관제(terminal control)"라고 하며 TMC로 약칭한다. 미국에서는 "터미널 레이더 접근 관제(terminal radar approach control)" 또는 TRACON이라고 한다.[16] 터미널 관제사는 일반적으로 공항으로부터 30~50해리(약 56~93km) 반경의 항공 교통을 처리한다.[16] 서로 가까이 있는 많은 혼잡한 공항이 있는 경우, 하나의 통합 터미널 관제 센터가 모든 공항을 서비스할 수 있다. 런던 터미널 관제 센터(London Terminal Control Centre)(LTCC)는 런던의 5개 주요 공항의 항공 교통을 통제하며, 최대 20000 피트 고도 및 100해리 거리까지 관제한다.터미널 관제사는 자체 영공 내에서 모든 항공 교통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 항공 교통 흐름은 출발, 도착 및 상공 통과로 크게 나뉜다. 항공기가 터미널 영공 안팎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음 적절한 관제 시설(관제탑, 항로 관제 시설 또는 인접 터미널 또는 접근 관제)로 '인계'된다. 터미널 관제는 항공기가 인계될 때 적절한 고도에 있고, 항공기가 착륙에 적합한 속도로 도착하도록 하는 책임이 있다.
모든 공항에 레이더 접근 또는 터미널 관제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항로 관제 센터 또는 인접 터미널 또는 접근 관제가 공항의 관제탑과 직접 조정하여 유도 항공기를 시계 착륙이 가능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공항 중 일부에서는 관제탑이 레이더 장치에서 인계받은 도착 항공기에 대해 레이더가 아닌 절차적 접근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계 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부서는 또한 전용 접근 부서를 두고 있으며, 이 부서는 항상 또는 어떤 이유로든 레이더가 작동하지 않는 기간 동안 절차적 접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교통량이 많은 공항에는 주변 공역을 관제하기 위한 레이더 관제 시설(TRACON)이 갖춰져 있다. 터미널 레이더 관제 업무는 일반적으로 공항으로부터 30~50해리 및 지상으로부터 10,000피트의 범위에서 교통 관제를 수행한다.
출발 관제표준계기출발절차(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는 이륙한 계기비행(IFR) 항공기를 레이더를 이용하여 항공로까지 유도하고 감시하는 절차이다. 디파처(DEP)는 이륙한 항공기를 레이더를 이용하여 항공로까지 유도하고 감시하는 부서 또는 관제석이다.
접근 관제접근관제(APP)는 항공로를 비행 중인 항공기를 계기 접근 시작점 또는 활주로 주변 경로(트래픽 패턴)까지 유도하고 감시하는 관제 부서이다. 항공기는 목적지 공항에 접근하면 항공로를 이탈하여 하강하면서 활주로를 향한다. 일반적으로 항공로는 활주로까지 설정되지 않으며, 항공로에서 공항 주변(정확히는 착륙할 활주로에 대한 계기 접근을 시작하는 지점)까지 표준 계기 도착 방식(STAR)이 설정되어 있다. 접근관제(석) 관제관은 항공기가 STAR에 따라 비행 및 하강하고 있는지 감시하거나, 레이더 유도를 통해 도착 항공기 간의 관제 간격을 설정하고, 접근 허가를 발행한다.

5. 항공로 관제
항공로 관제는 공항 간 비행 중인 항공기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조종사는 계기비행규칙 또는 시계비행규칙에 따라 비행하며, 항공 교통 관제사는 서로 다른 규칙에 따라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해 서로 다른 책임을 진다.[17] IFR 비행은 양성 통제하에 있지만,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VFR 조종사가 '비행 추적'(레이더 자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교통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상 및 비행 제한 구역을 피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7] 유럽 전역에서 조종사는 비행 추적과 유사한 '항공 정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영국에서는 '기본 서비스'로 알려져 있다.[17]
항로 항공 교통 관제사는 공중 항공기에 대한 허가 및 지시를 발행하며, 조종사는 이러한 지시를 준수해야 한다. 항로 관제사는 또한 전국 여러 소규모 공항에 대한 항공 교통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는 지상 이륙 허가와 공항 접근 허가가 포함된다.[17] 관제사는 항공기 간 허용 최소 거리를 정의하는 일련의 분리 기준을 준수한다.[17]
항공 교통 관제사는 항공 교통 관제센터(Air Traffic Control Centre, 이하 센터)라 불리는 시설에서 근무하며, 각 센터는 특정 비행 정보구역(FIR)을 담당한다.[17] 미국에서는 이와 동등한 용어로 항공로 교통 관제센터(Air Route Traffic Control Center)를 사용한다.[17] 각 비행 정보구역은 일반적으로 수천 평방 마일의 영공과 그 영공 내의 공항들을 포함한다. 센터는 항공기가 공항이나 터미널 지역 영공을 출발하는 순간부터 다른 공항이나 터미널 지역 영공에 도착하는 순간까지 계기비행규칙(IFR) 항공기를 관제한다.[17] 센터는 이미 이륙한 시계비행규칙(VFR) 항공기를 '인계'받아 관제 시스템에 통합하기도 한다.[17]
센터 관제사는 조종사에게 항공기를 지정 고도까지 상승하라는 지시를 내리는 책임이 있으며, 동시에 항공기가 주변의 다른 모든 항공기와 적절히 분리되도록 해야 한다.[17] 또한 항공기는 항로와 일치하는 흐름에 배치되어야 한다.[17] 항공기가 목적지에 접근하면 센터는 조종사에게 특정 지점까지 고도 제한을 준수하도록 지시하고, 도착 항공기가 모두 '몰리지' 않도록 여러 목적지 공항에 교통량 흐름을 제공해야 한다.[17]
항공기가 센터의 관제 구역 경계에 도달하면 다음 지역 관제센터로 '인계'된다.[17] 어떤 경우에는 이 '인계' 과정에 관제사 간의 식별 정보와 세부 정보 이전이 포함되어 항공 교통 관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는 지역 간 합의에 따라 교통량이 합의된 방식으로 제공될 경우 '무음 인계'가 허용될 수 있다.[17] 인계 후 항공기는 주파수를 변경하고 조종사는 다음 관제사와 통신을 시작한다. 이 과정은 항공기가 터미널 관제사('접근')에게 인계될 때까지 계속된다.[17]
센터는 광범위한 영공을 관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장거리 레이더를 사용하며, 고고도에서는 레이더 안테나 370km 이내의 항공기를 관측할 수 있다.[17]
미국 시스템의 경우 고고도에서 미국 영공의 90% 이상이 레이더로, 그리고 종종 여러 레이더 시스템으로 덮여 있지만, 고지대 또는 레이더 시설과의 거리 때문에 항공기가 사용하는 저고도에서는 범위가 불일치할 수 있다.[17] 센터는 할당된 영공을 커버하기 위해 여러 레이더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으며, 레이더 범위 하한선 아래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조종사 위치 보고에도 의존할 수 있다.[17]
센터는 또한 세계 해양 지역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관제한다. 이 지역 또한 비행 정보구역(FIR)이다. 해양 관제에 사용할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해양 관제사는 절차적 관제를 사용하여 ATC 서비스를 제공한다.[17] 이러한 절차는 항공기 위치 보고, 시간, 고도, 거리, 속도를 사용하여 분리를 보장한다.[17] 관제사는 항공기가 위치를 보고할 때 항공 진행 스트립과 특별히 개발된 해양 컴퓨터 시스템에 정보를 기록한다.[17] 이 과정에서는 항공기가 더 먼 거리로 분리되어야 하므로 주어진 항로의 전체 용량이 감소한다. 북대서양 항로 시스템이 이 방법의 대표적인 예이다.[17]
일부 항공 항행 서비스 제공업체는 감시 기능의 일부로 자동 종속 감시 – 방송(ADS-B)을 구현했다.[17] ADS-C는 또 다른 자동 종속 감시 모드이지만, ADS-C는 항공기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조종사가 자동으로 또는 조종사가 시작한 위치 보고를 하는 '계약' 모드로 작동한다. 관제사는 특정 이유로 항공기 위치를 더 빨리 확인하기 위해 더 빈번한 보고를 요청할 수도 있다.[17]
일본에서는 국토교통성 항공국의 관할 하에 항공교통관리센터와 4개의 항공교통관제부를 설치하여 항공로 관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54] 일본 국내에 발착하지 않는 항공기라도 관제 공역 내에서는 일본의 관제 하에 놓인다.[54] 항공교통관제부에서는 소규모 공항에서 레이더를 사용하지 않는 접근 관제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54]
2005년과 2006년에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운송다목적위성(MTSAT) 「히마와리 6호(MTSAT-1R)」 및 「히마와리 7호(MTSAT-2)」를 사용하여, 해상이나 VHF 통신의 사각지대를 비행하고 있는 항공기와 관제 기관 간에 각종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다.[54] 따라서, 레이더로 감시할 수 없는 해상에서 운항 편수를 늘릴 수 있게 되었다.[54]
6. 항공 관제와 컴퓨터
현대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은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일차 레이더와 이차 레이더는 관제사의 할당된 영공 내 상황 인식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모든 유형의 항공기는 레이더 에너지가 항공기 표면에서 반사될 때 다양한 크기의 일차 에코를 관제사 화면으로 보내고,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항공기는 이차 레이더 질의에 응답하여 ID(모드 A), 고도(모드 C), 및/또는 고유 호출 부호(모드 S)를 제공한다.[22] 특정 유형의 기상 현상도 레이더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은 다른 레이더의 데이터에 추가되어 항공 상황을 구축하는 데 상호 연관된다. 지상 속도와 자기 방위각 계산과 같은 일부 기본 처리가 레이더 추적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항공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모든 비행 계획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며, 비행 계획과 추적 간의 상관 관계가 설정되면 이 정보를 저 또는 고차원으로 통합한다. 이 모든 정보는 최신 운영 표시 시스템에 배포되어 관제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는 소프트웨어에 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지만, 완전 자동화 시스템은 아직 달성되지 못했다. 2002년 영국은 햄프셔주 스완윅에 있는 런던 지역 관제 센터(LACC)에 새로운 지역 관제 센터를 운영에 투입하여, 런던 히드로 공항 북쪽 웨스트 드레이턴의 바쁜 교외 센터의 부담을 덜었다. 록히드 마틴의 소프트웨어가 런던 지역 관제 센터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센터는 초기에는 소프트웨어 및 통신 문제로 인해 지연 및 간헐적인 시스템 중단이 발생하는 문제를 겪었다.[22]
관제사를 더욱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도구가 있다.
- 항공 데이터 처리 시스템: 이것은 (일반적으로 센터당 하나) 항공편 관련 정보(비행 계획)를 게이트에서 게이트까지(공항 출발/도착 게이트)의 시간대에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처리된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비행 계획 관련 도구(예: 중기 충돌 감지(MTCD))를 호출하고 이러한 처리된 정보를 모든 이해 관계자(항공 교통 관제사, 관련 센터, 공항 등)에게 배포한다.[23]
- 단기 충돌 경고(STCA): 약 2~3분(또는 접근 상황에서는 그보다 짧은 시간; 프랑스 샤를 드 골 공항 및 오를리 공항 접근 센터에서는 35초)의 시간대에서 가능한 충돌 궤적을 확인하고 분리 손실 전에 관제사에게 경고한다.[24] 사용된 알고리즘은 일부 시스템에서 최소 안전 거리 또는 고도 간격을 위반하지 않도록 항공기를 회전, 하강, 속도 증가/감소 또는 상승시키는 방법인 가능한 벡터링 솔루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 최소 안전 고도 경고(MSAW): 항공기가 지면에 너무 낮게 비행하거나 현재 고도와 방향을 기반으로 지형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관제사에게 경고하는 도구이다.
- 시스템 조정(SYSCO): 관제사가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항공편의 이륙을 협상할 수 있도록 한다.
- 구역 침입 경고(APW): 관제사에게 항공편이 제한 구역을 침입할 것임을 알린다.
- 도착 및 출발 관리자: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 순서를 돕는다.
- *출발 관리자(DMAN): 공항의 ATC를 위한 시스템 지원 도구로, 활주로에서 최적의 처리량을 유지하고 대기 지점에서 대기 시간을 줄이며 정보를 공항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즉, 항공사, 지상 조업 및 항공 교통 관제(ATC))에게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된 출발 흐름을 계산한다.
- *도착 관리자(AMAN): 공항의 ATC를 위한 시스템 지원 도구로, 활주로에서 최적의 처리량을 유지하고 도착 대기 시간을 줄이며 정보를 다양한 이해 관계자에게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된 도착 흐름을 계산한다.
- *수동 최종 접근 간격 도구(pFAST): CTAS 도구로, 혼잡한 공항에서 도착률을 개선하기 위해 터미널 관제사에게 활주로 배정 및 순서 번호 자문을 제공한다. pFAST는 5개의 미국 TRACON에 배치되어 운영되다가 취소되었다. NASA 연구에는 활주로 및 순서 자문을 구현하기 위해 벡터 및 속도 자문도 제공하는 능동 FAST 기능이 포함되었다.
- 수렴 활주로 표시 보조(CRDA): 접근 관제사가 교차하는 두 개의 최종 접근을 실행하고, 고고도 회피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 센터 TRACON 자동화 시스템(CTAS): NASA 에임스 연구 센터에서 개발한 인간 중심 의사 결정 지원 도구 모음이다. 여러 CTAS 도구가 현장 테스트를 거쳐 운영 평가 및 사용을 위해 FAA로 이관되었다. 일부 CTAS 도구는 교통 관리 자문(TMA), 수동 최종 접근 간격 도구(pFAST), 공동 도착 계획(CAP), 직행(D2), 항로 하강 자문(EDA), 다중 센터 TMA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Linux에서 실행된다.[25]
- 교통 관리 자문(TMA): CTAS 도구로, 특정 기간 동안 센터에서 TRACON으로 항공기를 상한선으로 제공하기 위해 시간 기반 계량 솔루션을 자동화하는 항로 의사 결정 지원 도구이다. 지정된 도착률을 초과하지 않는 일정이 결정되고, 관제사는 일정 시간을 사용하여 항로 도메인에서 도착 항공편에 적절한 지연을 제공한다. 이는 전체 항로 지연을 줄이고, TRACON 경계 근처에서 대기해야 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영공(고도가 높은 곳)으로 지연을 이동시키며, 이는 TRACON 관제사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TMA는 대부분의 항로 항공로 교통 관제 센터(ARTCC)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더 복잡한 교통 상황(예: 인접 센터 계량(ACM) 및 항로 출발 기능(EDC))을 해결하기 위해 계속 개선되고 있다.
- MTCD 및 URET
- *미국에서는 사용자 요청 평가 도구(URET)가 현재 구역 내에 있거나 현재 구역으로 경로가 지정된 모든 항공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ARTCC에서 항로 관제사의 종이 스트립을 제거한다.
- *유럽에서는 여러 MTCD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영국 항공 교통 서비스), VAFORIT(독일 항공 교통 관제), 새로운 FDPS(마스트리흐트 상공 관제 센터). 단일 유럽 하늘 ATM 연구(SESAR) 프로그램은 곧 새로운 MTCD 개념을 출시할 예정이다.[26]
:URET 및 MTCD는 최대 30분 전에 충돌 경고를 제공하며, 해결 옵션 및 조종사 요청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 도구를 갖추고 있다.
- 모드 S: 이차 감시 레이더를 통해 비행 매개변수의 데이터 다운링크를 제공하여 레이더 처리 시스템 및 관제사가 항공기 고유 ID(24비트 인코딩), 표시 공기 속도, 비행 지시기 선택 레벨 등 항공편의 다양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한다.
- 관제사-조종사 데이터 링크 통신(CPDLC): 관제사와 조종사 간에 디지털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여 무선 통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특히 사용하기 어려운 HF 무선 통신이 이전에 항공기와의 통신에 사용되었던 지역(예: 대양)에서 특히 유용하다. 이것은 현재 대서양과 태평양을 포함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ADS-B: 자동 종속 감시 방송; 트랜스폰더(1090MHz)를 통해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 다양한 비행 매개변수의 데이터 다운링크를 제공하고, 근처의 다른 항공기에서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항공기의 위도, 경도 및 고도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관제사를 위한 항공기의 레이더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레이더 설치가 교통량이 적다는 이유로 금지되거나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지역(예: 대양)에서 일종의 의사 레이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호주, 캐나다 및 태평양 일부 지역과 알래스카에서 사용되고 있다.

- 전자 비행 스트립 시스템(e-스트립): 기존의 종이 스트립을 대체하는 전자 비행 스트립 시스템은 Nav Canada, MASUAC, DFS, DECEA와 같은 여러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e-스트립을 통해 관제사는 종이 스트립 없이 전자 비행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관리하여 수동 작업을 줄이고 새로운 도구를 만들고 ATCO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최초의 전자 비행 스트립 시스템은 1999년 Nav Canada와 Saipher ATC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발명 및 구현했다. Nav Canada 시스템은 EXCDS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 NAVCANstrips로 브랜드가 변경되었고, Saipher의 1세대 시스템은 SGTC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2세대 시스템인 TATIC TWR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브라질의 DECEA는 세계에서 가장 큰 탑 e-스트립 시스템 사용자이며, 매우 작은 공항부터 가장 바쁜 공항까지 다양하며, 항공 교통 흐름 관리(ATFM), 청구 및 통계에 사용하기 위해 150개 이상의 사이트에서 실시간 정보 및 데이터 수집의 이점을 활용한다.
- 화면 내용 기록: 대부분의 최신 자동화 시스템의 일부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기록 기능으로, ATCO에 표시되는 화면 내용을 캡처한다. 이러한 기록은 나중에 조사 및 사후 이벤트 분석을 위해 오디오 기록과 함께 재생하는 데 사용된다.[28]
- 통신 항법 감시/항공 교통 관리(CNS/ATM) 시스템은 위성 시스템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항법 및 감시 시스템으로, 원활한 글로벌 항공 교통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자동화를 사용한다.[29]
6. 1. 업무 분야
항공 교통 관제에서 관제사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비행계획 전달: 정기편의 비행계획을 컴퓨터에 저장하고, 매일 운항계획을 작성한다. 예정 변경 및 부정기편은 발생 시마다 전달한다.
- 출발 허가: 컴퓨터는 출발 예정 30분 전의 비행계획을 찾아 출발 허가 여부를 조사하고, 출발표를 만들어 관제관에게 제공한다. 관제관은 출발표에 따라 출발 허가를 지시한다. 출발 예정 시간을 10분 이상 경과하면 컴퓨터가 그 이유를 통보한다.
- 후속분 출발표 작성: 앞 항공기의 이륙 시각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후속 항공기의 출발표가 작성된다.
- 이상 접근 체크: 항공기가 보고한 위치 통보점 통과 내용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이상 접근 여부를 확인한다. 이상이 없으면 이후 예정 시각을 계산하여 기록하고, 이상이 있으면 즉시 관제관에게 통보한다. 위치 통보점 통과 예정 시각을 5분 초과하여 연락이 없는 경우에도 늦어진 이유를 관제관에게 통보한다.
- 강하 승인: 컴퓨터는 비행장 도착 예정 15분 전의 항공기를 찾아 관제관에게 알린다. 예정보다 30분 경과한 경우에도 그 이유를 관제관에게 알린다.
- 비행 종료: 관제관이 관제탑에서 착륙 통보를 받고 컴퓨터에 입력하면 비행이 완료된다.
6. 2. 요구 사항
컴퓨터가 담당하는 항공 교통 관제업무에는 다음과 같은 요구 사항이 있다.- 모든 문의에 대한 처리를 즉각적으로 행해야 한다.
- 기본이 되는 시간을 체크하기 위해 적어도 1분에 한 번 정도 컴퓨터가 현상의 변화에 대하여 기억 내용을 조사해야 한다.
- 운항 계획과 항공로 등을 기억하기 위해 대용량의 기억 장치가 필요하며, 빈번하게 정보를 넣고 빼기 때문에 기억 내용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한다.
- 1일 24시간 내내 가동해야 한다.
- 관제관과의 대화에 필요한 특수 문의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리얼 타임 컴퓨터에 의한 처리가 적당하다.
7. 설비
지상 기지국에는 NDB, VOR, DME, TACAN, VOR/DME, VORTAC, ILS 등이 설치되어 있다. NDB는 200kHz~415kHz 주파수의 AM 전파를 발사하여 위치를 알리는 시설이며, 모르스 부호로 된 식별 부호를 통해 어느 NDB의 전파인지 쉽게 알 수 있다. VOR/DME는 VOR과 DME를 동시에 설치한 것이며, VORTAC는 VOR과 TACAN을 인접하여 설치한 것이다. VORTAC의 신호는 VOR/DME를 이용하는 민간기와 TACAN을 이용하는 군용기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레이다는 주로 비행 중인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에는 일차 레이더와 이차 레이더가 사용되어 관제사의 상황 인식을 향상시킨다.[22]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항공기는 이차 레이더 질의에 응답하여 ID(모드 A), 고도(모드 C), 및/또는 고유 호출 부호(모드 S)를 제공한다.[22]
공항 감시 레이더(ASR)는 공항으로부터 60마일 이내의 공역에 있는 항공기 위치를 탐지하여 출발기나 진입기 유도, 관제 간격 설정 등에 사용된다. 보조 감시 레이더(SSR)는 항공기에 탑재된 ATC 트랜스폰더와 교신하여 편명(모드 A)와 고도(모드 C)를 얻는 레이더이다. 공항 지상탐지 레이더(ASDE)는 공항 지표면의 항공기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감시하며, 시야가 좋지 않을 때나 야간 관제 업무에 사용된다. 정밀 접근 레이더(PAR)는 항공기를 착륙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항공로 감시 레이더(ARSR)는 항공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유도와 간격 설정에 사용된다.
항공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비행 계획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고, 비행 계획과 추적 간의 상관 관계를 설정한다.[22] 이 정보는 운영 표시 시스템에 배포되어 관제사가 사용할 수 있다.[22]
관제사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는 단기 충돌 경고(STCA), 최소 안전 고도 경고(MSAW), 시스템 조정(SYSCO), 구역 침입 경고(APW), 도착 및 출발 관리자 등이 있다.[22] STCA는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고,[24] MSAW는 항공기가 지면에 너무 낮게 비행하는 경우 경고한다.[22] 출발 관리자(DMAN)는 활주로 처리량을 최적화하고,[22] 도착 관리자(AMAN)는 도착 대기 시간을 줄인다.[22]
모드 S는 이차 감시 레이더를 통해 비행 매개변수의 데이터 다운링크를 제공한다.[26] 관제사-조종사 데이터 링크 통신(CPDLC)는 관제사와 조종사 간의 디지털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26] ADS-B는 항공기의 위치, 고도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레이더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 의사 레이더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26]
전자 비행 스트립 시스템(e-스트립)은 종이 스트립을 대체하여 전자 비행 데이터를 관리한다.[27] 화면 내용 기록은 ATCO에 표시되는 화면 내용을 캡처하여 조사 및 사후 분석에 사용된다.[28] CNS/ATM 시스템은 위성 시스템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원활한 글로벌 항공 교통 관리 시스템을 지원한다.[29]
8. 사용 언어
항공 교통 관제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요구 사항에 따라 영어 또는 지상 관제소에서 사용하는 현지 언어로 수행된다.[4] 실제로는 해당 지역의 모국어가 사용되지만, 요청 시에는 영어를 사용해야 한다.[4]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함께 사용하며, 국제선 항공편의 경우 영어를 주로 사용한다. 긴급 상황에서는 조종사의 부담을 고려하여 모국어 사용을 허가하기도 한다. 대한항공 123편 추락 사고에서 관제사가 한국어 사용을 허가한 사례가 있으며, 이후 한국어로 통신이 이루어졌다.
9. 무선 고장 시
무선 장치 고장이나 무선 장치 미탑재로 인해 통신이 불가능한 항공기(NORDO:노르도)에 대해서는 라이트 건(조준 지시등. 적색, 녹색, 백색의 점멸등 또는 고정등을 낼 수 있는 강력한 등화)을 사용하고, 항공기는 기체의 기울기, 야간에는 항공등이나 착륙등을 사용하여 통신한다.[42][43] 이륙, 착륙, 택싱 등 기본적인 지시(Aviation light signals)가 가능하다.[44] 항공기 외에도 활주로 내를 주행하는 차량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45]
10. 항공 교통 관제의 문제점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은 항공 교통 수요량과 기상 조건이라는 주요 문제에 직면한다.[19] 주어진 시간 내에 공항에 착륙할 수 있는 항공기 수는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데, 각 항공기는 착륙, 감속, 활주로 이탈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은 항공기당 최소 1분에서 최대 4분이 소요되며, 출발 항공기까지 고려하면 활주로 하나당 시간당 약 30대의 항공기 도착을 처리할 수 있다.[19]
문제는 항공사가 실제 처리 용량보다 많은 항공편을 예약하거나, 다른 곳에서의 지연으로 시간 간격을 두고 도착해야 할 항공기들이 동시에 도착하는 경우 발생한다. 이 경우 항공기는 홀딩을 통해 공중에서 대기해야 한다. 1990년대까지 홀딩은 일상적인 일이었으나, 컴퓨터 기술 발전으로 수 시간 전에 항공기 순서를 정할 수 있게 되어 이륙 전 지연('슬롯' 할당) 또는 비행 중 속도 감소를 통해 홀딩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활주로 용량 외에도 기상은 교통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 얼음, 눈, 우박, 안개 등은 착륙률을 감소시켜 대기 중인 항공기 지연을 증가시킨다. 공중 대기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지상 지연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출발 전 항공기를 지상에 대기시킬 수 있다. 구역 관제 센터에서는 뇌우가 주요 기상 문제인데, 뇌우를 피해 우회하거나 뇌우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려는 항공기들로 인해 항로 시스템 용량이 감소하고, 때로는 항로 폐쇄로 인한 출발 지연이 발생하기도 한다.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과 같은 대형 공항에서는 관제탑이 운영되어 항공 교통 흐름을 통제한다.
항공 교통 관제 오류는 항공기 간 분리가 최소 규정 거리보다 낮아질 때 발생한다. 이러한 오류는 일반적으로 강렬한 활동 이후 관제사의 이완으로 인해 발생한다.[19]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자금이 투입되었지만, 일부 관제 센터에서는 여전히 종이 항공기 진행 스트립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새로운 장비 도입과 함께 전자 데이터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제한된 관제 용량과 증가하는 항공 교통량은 결항 및 지연을 야기한다.[9] 미국에서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항공 교통 관제로 인한 지연이 69% 증가했으며, 이는 항공 교통 관제 인력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20] 유럽에서는 2018년 항로 지연이 105% 증가하여 176억 유로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 더 효율적인 항공 교통 관제는 홀딩 패턴 및 우회 항로를 줄여 항공 연료의 5~10%를 절감할 수 있다.[9]
런던 상공과 같이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항공기 콘트레일이 자주 발생한다.
중국은 영공의 80%가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여객기 항로가 제한되어 혼잡이 발생한다. 반면, 영국은 군사 훈련 기간에만 군사 영공을 폐쇄한다.[9]
11. 항공 교통 관제의 미래
미국에서는 차세대 항공교통시스템(Next Generation Air Transportation System)을 통해 국가 영공 시스템을 개편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34] 유럽에서는 단일 유럽 항공교통관리 연구(Single European Sky ATM Research)(SESAR)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항공 교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기술, 절차 및 시스템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26]
2018년 10월, 유럽 관제사 노조는 새로운 기술이 사용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로 ATC 개선 목표 설정을 "시간과 노력 낭비"라고 일축했다. 2019년 4월, EU는 공통 디지털화 표준을 포함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관제사가 필요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디지털 유럽 영공'을 촉구했지만, 이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과 같은 대륙 규모의 단일 항공 교통 관제 서비스도 혼잡을 완화하지 못한다. 유로컨트롤(Eurocontrol)은 항공편을 덜 붐비는 노선으로 우회시켜 지연을 줄이려고 노력하며, 4월에 개항한 이스탄불 신공항을 수용하기 위해 유럽 전역의 항공로가 재설계되었지만, 증가하는 항공 여행 수요로 인해 추가 용량이 흡수될 것이다.[9]
서유럽의 고소득 일자리는 저렴한 노동력을 가진 동유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페인 관제사의 평균 연봉은 20만 유로가 넘는데, 이는 국가 평균 연봉의 7배가 넘고 조종사보다 많으며, 2010년에는 최소 10명의 관제사가 연봉 81만 유로(110만 달러) 이상을 받았다. 프랑스 관제사들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개월 동안 파업을 벌였다.[9]
12. 관련 기관
항공 교통 관제 서비스 제공자 문서를 참고하라.
- AzərAeroNaviqasiyaaz
- 알바니아 – 알브컨트롤(Albcontrol)
- 알제리 – Etablissement National de la Navigation Aérienne (ENNA)
- 아르헨티나 – 엠프레사 아르헨티나 데 나베가시온 아에레아(Empresa Argentina de Navegación Aérea)(EANA)
- 아르메니아 – Armenian Air Traffic Services (ARMATS)
- 오스트레일리아 – 에어서비스 오스트레일리아(Airservices Australia) (정부 소유 기업) 및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Royal Australian Air Force)
- 오스트리아 – 오스트로 컨트롤(Austro Control)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Bangladesh)
- 벨라루스 – 공화국 단일 기업 Белаэронавигация (벨라루스 항공 항행(Belarusian Air Navigation))
- 벨기에 – 스카이즈(Skeyes) - 항공로 당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Agencija za pružanje usluga u zračnoj plovidbi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 항행 서비스 기관(Bosnia and Herzegovina Air Navigation Services Agency))
- 브라질 – 대기권 통제부(Departamento de Controle do Espaço Aéreo) (항공 교통 관제/항공 교통 관리 당국) 및 ANAC – Agência Nacional de Aviação Civil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 불가리아 – 항공 교통 서비스 당국(Air Traffic Services Authority)
- 캄보디아 – 캄보디아 항공 교통 서비스(Cambodia Air Traffic Services, CATS)
- 캐나다 – 내브 캐나다(Nav Canada)
- 케이맨 제도 – 케이맨 제도 공항 당국(CIAA Cayman Islands Airports Authority)
- 중앙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항공 항행 서비스 공사(Corporación Centroamericana de Servicios de Navegación Aérea)
- * 과테말라 – 민간항공총국(Dirección General de Aeronáutica Civil, DGAC)
- *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니카라과 – 국제공항 관리회사(Empresa Administradora Aeropuertos Internacionales, EAAI)
- * 코스타리카 – 민간항공총국(Dirección General de Aviación Civil)
- * 벨리즈
- 칠레 – 민간항공총국(Dirección General de Aeronáutica Civil, DGAC)
- 콜롬비아 – 콜롬비아 민간항공청(Aeronáutica Civil Colombiana, UAEAC)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항공 교통 관제 유한회사(Hrvatska kontrola zračne plovidbe, Croatia Control Ltd.)
- 쿠바 – 쿠바 민간항공연구소(Instituto de Aeronáutica Civil de Cuba, IACC)
- 체코 – 체코 항공 교통 관제(Řízení letového provozu ČR)
- 키프로스 – 민간항공부(Department of Civil Aviation)
- 덴마크 – 나비에어(Naviair) (덴마크 항공 교통 관제)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민간항공연구소(Instituto Dominicano de Aviación Civil, IDAC) '도미니카 민간항공연구소(Dominican Institute of Civil Aviation)'
- 동부 카리브해 – 동부 카리브해 민간항공청(Eastern Caribbean Civil Aviation Authority, ECCAA)
- * 앤귈라
- * 앤티가 바부다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 도미니카 연방
- * 그레나다
- * 세인트 키츠 네비스
- * 세인트루시아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에콰도르 – 민간항공총국(Dirección General de Aviación Civil, DGAC) '민간항공총국(General Direction of Civil Aviation)' 정부 기관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항공 항행 서비스(Estonian Air Navigation Services)
- 유럽 – 유로컨트롤(Eurocontrol) (항공 항행 안전을 위한 유럽 기구)
- 피지 – 피지 공항(정부 소유 상업 회사)
- 핀란드 – 피나비아(Finavia)
- 프랑스 – 민간항공총국(Direction Générale de l'Aviation Civile, DGAC)의 항공 항행 서비스 국(Direction des Services de la Navigation Aérienne, DSNA) (정부 기관)
- 조지아 – SAKAERONAVIGATSIA, Ltd. (조지아 항공 항행)
- 독일 – 독일 항공 교통 관제(Deutsche Flugsicherung) (독일 항공 교통 관제 – 국영 기업)
- 그리스 – 그리스 민간항공청(Hellenic Civil Aviation Authority, HCAA)
- 홍콩 – 홍콩 민간항공국(Civil Aviation Department) (CAD)
- 헝가리 – HungaroControl Magyar Légiforgalmi Szolgálat Zrt. (HungaroControl 헝가리 항공 항행 서비스 유한회사(HungaroControl Hungarian Air Navigation Services Pte. Ltd. Co.))
- 아이슬란드 – 이사비아(ISAVIA)
- 인도 – 인도 공항 당국(Airports Authority of India, AAI) (인도 정부(Government of India) 및 인도 공군(Indian Air Force) 산하 민간항공부)
- 인도네시아 – 에어내브 인도네시아(AirNav Indonesia)
- 이란 – 이란 민간항공기구(Iran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 아일랜드 – 아일랜드 항공 당국(Irish Aviation Authority, IAA)
- 이라크 – 이라크 항공 항행 – 이라크 민간항공청(Iraqi Air Navigation – ICAA)
- 이스라엘 – 이스라엘 공항 당국(Israeli Airports Authority, IIA)
- 이탈리아 – 에나브(ENAV) SpA 및 이탈리아 공군(Italian Air Force)
- 자메이카 – 자메이카 민간항공청(Jamaica Civil Aviation Authority, JCAA)
- 일본 – 일본 민간항공국(Japan Civil Aviation Bureau, JCAB)
- 케냐 – 케냐 민간항공청(Kenya Civil Aviation Authority, KCAA)
- 라트비아 – LGS (라트비아 항공 교통 관제)
- 리투아니아 – ANS (리투아니아 항공 교통 관제)
- 룩셈부르크 – 항공 항행청(Administration de la navigation aérienne, ANA – 정부 기관)
- 북마케도니아 – 민간항공총국(DGCA) (북마케도니아 항공 교통 관제)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of Malaysia, CAAM)
- 몰타 – 몰타 항공 교통 서비스 유한회사(Malta Air Traffic Services Ltd)
- 멕시코 – 멕시코 영공 항행 서비스(Servicios a la Navegación en el Espacio Aéreo Mexicano)
- 모로코 – 국립 공항청(Office National Des Aeroports, ONDA)
- 네팔 – 네팔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of Nepal)
- 네덜란드 – 네덜란드 항공 교통 관제(Luchtverkeersleiding Nederland, LVNL) (네덜란드 항공 교통 관제), 유로컨트롤(마스트리흐트 상공 관제 센터)
- 뉴질랜드 – 에어웨이스 뉴질랜드(Airways New Zealand) (국영 기업)
- 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민간항공청(Nigeria Civil Aviation Authority, NCAA)
- 노르웨이 – 아비노르(Avinor) (국영 민간 기업)
- 오만 – 기상 및 항공 항행 총국(Directorate General of Meteorology & Air Navigation) (오만 정부)
- 파키스탄 –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파키스탄 정부(Government of Pakistan) 산하)
- 페루 – 민간항공훈련센터(Centro de Instrucción de Aviación Civil, CIAC)
- 필리핀 – 필리핀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of the Philippines, CAAP) (필리핀 정부 산하)
- 폴란드 – 폴란드 항공 항행 서비스 기관(Polish Air Navigation Services Agency, PANSA)
- 포르투갈 – NAV (포르투갈 항공 교통 관제)
- 푸에르토리코 – 연방항공청(Administracion Federal de Aviacion)
- 루마니아 – 루마니아 항공 교통 서비스 관리(Romanian Air Traffic Services Administration, ROMATSA)
- 러시아 – 연방 국가 단일 기업 (국가 ATM 공사(State ATM Corporation))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 항공 항행 서비스(Saudi Air Navigation Services, SANS)
- 세이셸 – 세이셸 민간항공청(Seychelles Civil Aviation Authority, SCAA)
- 싱가포르 – 싱가포르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of Singapore, CAAS)
- 세르비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항공 교통 서비스 기관(Serbia and Montenegro Air Traffic Services Agency) 유한회사(Ltd.) (SMATSA)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항공 운항 서비스(Letové prevádzkové služby Slovenskej republiky)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컨트롤(Slovenia Control)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항공 교통 및 항행 서비스(Air Traffic and Navigation Services, ATNS)
- 대한민국 – 한국민간항공청
- 스페인 – 아에나(AENA) 현재 아에나 S.A.(AENA S.A.) (스페인 공항) 및 에나이레(ENAIRE) (항공 교통 관제 및 항공 교통 서비스 제공자)[30]
- 스리랑카 – 공항 및 항공 서비스(스리랑카) 유한회사(Airport & Aviation Services (Sri Lanka) Limited) (정부 소유 기업)
- 스웨덴 – LFV (정부 기관)
- 스위스 – 스카이가이드(Skyguide)
- 타이완 – ANWS (민간항공청(Civil Aeronautical Administration))
- 태국 – 에어로타이(AEROTHAI) (태국 항공 무선)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민간항공청(Trinidad and Tobago Civil Aviation Authority, TTCAA)
- 터키 – 국영 공항청 총국(General Directorate of State Airports Authority) (DHMI)
- 아랍에미리트 – 민간항공청(General Civil Aviation Authority, GCAA)
- 영국 – 영국 항공 교통 서비스(National Air Traffic Services, NATS) (49% 국영 민관 파트너십, 민간 및 군사)
- 미국 – 미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정부 기관)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국가 항공 교통 서비스 기업(Ukrainian State Air Traffic Service Enterprise, UkSATSE)
- 베네수엘라 – 국립 민간항공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Aeronautica Civil, INAC)
- 베트남 – 베트남 항공 교통 관리 공사(Vietnam Air Traffic Management Corporation, VATM)[31]
- 잠비아 – 잠비아 민간항공청(Zambia Civil Aviation Authority, ZCAA)[32]
- 짐바브웨 – 짐바브웨 민간항공청[33]
- 미국 항공 교통 관제사 협회(National Air Traffic Controllers Association)
-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 항공 교통 관제 등 - 국토교통성
- 항공 교통 관제사 - 국토교통성
- 나리타 공항 항공기상대(成田航空地方気象台)
참조
[1]
웹사이트
FAA 7110.65 2-1-1
http://www.faa.gov/a[...]
Federal Aviation Authority
n.d.
[2]
웹사이트
How air traffic control works
https://www.caa.co.u[...]
UK Civil Aviation Authority
2021-01-21
[3]
웹사이트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eCFR)
https://www.ecfr.gov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eCFR)
2021-01-21
[4]
웹사이트
IDAO FAQ
http://www.icao.in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09-03-03
[5]
웹사이트
Heritage locations – South East – Surrey – Croydon Airport
http://www.transport[...]
2015-07-03
[6]
뉴스
Colourised images mark centenary of world's first control tower
https://www.flightgl[...]
2020-02-25
[7]
뉴스
How a hut in Croydon changed air travel
https://www.bbc.co.u[...]
2020-03-02
[8]
문서
FAA Historical Chronology, 1926–1996
[9]
뉴스
Air-traffic control is a mess
https://www.economis[...]
2019-06-15
[10]
논문
Occupational stress and stress prevention in air traffic
International Labour Office, Working paper: CONDI/T/WP.6/1995
1995
[11]
논문
Mental health in high-tech system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5:31-7.
2005
[12]
웹사이트
CANSO Guidance Material for Remote and Digital Towers
https://canso.fra1.d[...]
Civil Air Navigation Services Organisation (CANSO)
2023-08-23
[13]
웹사이트
Guidance Material on remote aerodrome air traffic services
https://www.easa.eur[...]
European Union Aviation Safety Agency (EASA)
2023-08-23
[14]
웹사이트
Thirteenth Air Navigation Conference, Montréal, Canada, 9 to 19 October 2018, Committee A, Agenda item 3: Enhancing the global air navigation system, 3.5: Other ATM issues: Digitisation of Aerodrome Air Traffic Services
https://www.icao.in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2023-08-23
[15]
서적
Air Traffic Control Handbook
Crécy Publishing Ltd
2021
[16]
웹사이트
Terminal Radar Approach Control Facilities (TRACON)
http://www.faa.gov/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4-02-22
[17]
웹사이트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 Contract (ADS-C)
https://www.skybrary[...]
SKYbrary Aviation Safety
2021-02-23
[18]
웹사이트
crash report
http://www.tsb.gc.ca[...]
2010-08-24
[19]
논문
Effects of Sector Complexity and Controller Experience on Probability of Operational Errors in Air Route Traffic Control Centers
Center for Naval Analyses Document (IPR 95-0092)
1996-09
[20]
뉴스
Air traffic control staffing shortage must be addressed
https://thehill.com/[...]
2022-08-12
[21]
웹사이트
What is an abbreviated aircraft call sign?
http://atccommunicat[...]
2015-07-03
[22]
웹사이트
Air Traffic Control
https://sites.google[...]
2012-12-04
[23]
웹사이트
Medium Term Conflict Detection (MTCD)
https://skybrary.aer[...]
SKYbrary Aviation Safety
2024-11-03
[24]
웹사이트
Le filet de sauvegarde resserre ses mailles
http://www.dgac.fr/h[...]
[25]
웹사이트
Technical Sessions
http://www.usenix.or[...]
usenix.org
2010-12-05
[26]
웹사이트
SESAR
http://www.eurocontr[...]
Eurocontrol
[27]
웹사이트
Technology Solutions – Integrat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IIDS) – Extended Computer Display System (EXCDS)
http://www.navcanada[...]
[28]
웹사이트
Solutions using Epiphan products
http://www.epiphan.c[...]
2015-07-03
[29]
웹사이트
CNS/ATM SYSTEMS
http://www.icao.int/[...]
[30]
웹사이트
Acerca de ENAIRE – ENAIRE – Información corporativa
http://www.enaire.es[...]
2015-07-03
[31]
웹사이트
Company profile – Viet Nam Air Traffic Management Corporation
https://vatm.vn/en/c[...]
2024-01-23
[32]
웹사이트
Zambia Civil Aviation Authority - home
http://www.caa.co.zm[...]
2019-08-02
[33]
웹사이트
Civil Aviation Authority of Zimbabwe
https://www.caaz.co.[...]
2021-05-09
[34]
간행물
Wired 4.04: Free Flight
https://www.wired.co[...]
2015-07-03
[35]
논문
Commercialising Air Traffic Control: Have the reforms worked?
Canadian Public Administration
2007-08-15
[36]
웹사이트
FAA Labor Unions Oppose ATC Privatization
https://www.passmemb[...]
2016-11-25
[37]
논문
Safety and Efficiency Must Remain the Main Mission
2015
[38]
논문
The NAV CANADA Model
2015
[39]
웹사이트
Air Traffic Plans and Publications
http://www.faa.gov/d[...]
2010-12-05
[40]
웹사이트
Aviation Glossary C
http://www.tc.gc.ca/[...]
Transport Canada
2016-07-09
[41]
문서
航空交通管制職員試験規則
[42]
문서
비상업 비행시 무선 자격이 필요없고 무선 통신이 필요 없는 영공이 확보된 국가(미국 등)도 있으며, 항로 차트에 지정되어 있다.
[43]
웹사이트
관제탑 버추얼 투어 건셋 & 라이트건
http://www.mlit.go.j[...]
국토교통성
[44]
웹사이트
ATC Light Signal FAR 91.125 지향 신호등
http://www.cfijapan.[...]
[45]
문서
최근에는 공항 무선 전화를 통해 차량과 직접 통신이 가능해졌다.
[46]
웹사이트
준비한 것만이 도움이 되었던 ~어떤 관료들의 지진~
https://web.archive.[...]
일본방송협회
2021-03-06
[47]
뉴스
군마 헬기 추락: 기장은 베테랑 대지진 직후 피해 지역 상공으로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48]
웹사이트
A/G 무선 전화 서비스
https://www.airportr[...]
일본공항무선서비스주식회사
[49]
웹사이트
초단파 통신 장치
http://www.jal.com/j[...]
일본항공 항공실용사전
[50]
웹사이트
쾌적한 하늘 여행을 지탱하는 JAL의 그라운드 스태프에 밀착해 보았다
https://car.watch.im[...]
Car Watch
[51]
문서
일본에서는 2006년 10월까지 "Taxi into position and hold"라고 말했다.
[52]
법률
항공법 제97조 제1항
[53]
문서
지바현 동가츠시키군 관숙정(현·노다시)에 설치된 항공 표지 "관숙 VOR". 실재한다.
[54]
문서
MTSAT를 이용함으로써 1항로당 관제 수직 간격(전후 간격)이나 항로 간 간격(좌우 간격)의 단축이 예상된다. 또한, (RVSM: 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um)에 의해 수직 관제 간격(상하 간격)을 좁히고, 항법 정도 요건(RNP: Required Navigation Performance)을 충족하는 항공기의 경우 광역 항법(RNAV: area-navigation route)에 의해 항로의 보호 영공을 축소함으로써 병행 항로 간 간격을 좁혀 운항 편수를 늘릴 수 있다. 현재, 정확히 말하면 RNP는 RNAV와 다른 개념이지만, 편의상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55]
웹사이트
앞으로의 우리나라 항공 관제의 과제와 대응 (미래 항공 교통 수요 증대에 대한 전략)
http://atcaj.or.jp/w[...]
국토교통성 항공국 항공관제부 (헤이세이 28년도 항공관제 세미나 강연 자료)
[56]
문서
데이터 링크 방식은 문자 데이터 또는 바이너리 데이터 형식으로 항공기에서 데이터 기지국으로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으로, 방식으로는 ACARS(단파대·VHF대), ASDAR(정지 위성, 주로 기상 위성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인마르새트 등을 사용한 방식 등이 있다.
[57]
문서
항공 정보 서큘러 Nr004/09 2009년 2월 26일자 참조
[58]
문서
개인, 군사, 상업 등
[59]
문서
또는 "슬롯 지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